펫로스증후군과 빈집증후군의 공통 원인

펫로스증후군 pet loss syndrome 과 빈집증후군 empty nest syndrome 은 얼핏 보았을때 공통점을 쉽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펫로스증후군은 반려동물의 사망으로 겪게되는 죄책감, 슬픔, 혼란, 공포로 오는 우울한 마음 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마음의 질병으로 나타난 것을 나타내는 용어라면 빈집증후군은 자녀들이 교육 등의 이유로 집을 비울 때나 결혼 등으로 자녀가 독립해 나갈 때 느끼는 서운함과 허전함 등의 극심한 정체성 상실로 인한 마음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

이렇게 놓고보면 신드롬 syndrome (증후군) 이라는 용어를 빼곤 공통점은 없는 듯 하다. 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우리는 공통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인간관계를 맺어가면서 살아가기 마련이다. 때론 깊은 산속이나 무인도 등에서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그러기에 혼자있는 것에 익숙하지 않고 언제나 누군가와 함께 있으려고 할때가 많다.

사람들은 혼자 있는 것을 피하려고 반려동물을 많이 키우게 된다. 특히 요즘같이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살거나 결혼 후 이혼하고 혼자사는 1인 가구, 배우자를 사별하고 혼자사는 가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수가 20%를 넘고 1천만명 이상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는 통계자료를 보더라도 향후 반려동물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늘어나는 반려동물의 수에 비례하여 사람보다 훨씬 짧은 수명을 갖고있는 반려동물의 사망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수명을 사전에 인지하지않고 마음에 준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어느날 반려동물의 사망으로 펫로스증후군을 겪게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들은 사전에 마음의 준비를 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크게 받게되고 그들이 느끼는 고통은 더욱 클 수 밖에없다. 이것이 펫로스증후군이다.

펫로스증후군의 원인은 ‘나 혼자 남겨졌다’는 마음의 상처 때문이다. 즉 사랑했던 반려동물이 떠나고 나혼자 남겨졌을 때의 ‘외로움’ 이 그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빈집증후군 또한 그 원인을 분석해 보면 자녀들이 떠나고 남겨진 자신을 보게될 때에 느끼는 ‘외로움’으로 볼 수 있다.

즉 펫로스증후군과 빈집증후군은 모두 ‘외로움’에서 그 원인을 찾는 것이 옳다고 본다.

글쓴이: 김영관 kim young kwan

펫로스통합지원기구, CALUSO/Companion Animal Loss Unity Support Organization 설립, 펫로스증후군 극복 커뮤니티, 글로벌펫로스 GlobalPetLoss 운영중, 반려동물화장 장례서비스 제공업체, 토판타 topanta.co.kr 펫카365 petcar365.com 운영중 -CALUSO ; Companion Animal Loss Unity Support Organization -Operating community of GlobalPetLoss for Pet Loss Syndrome -Operating funeral service for companion animal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